한여름 낮, 가만히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르고 숨이 턱 막히는 날이 많아지고 있어요. 바로 오늘같은 날 말이죠. 오늘 제가 사는 지역에서는 낮 최고 기온이 37도까지 올랐는데 정말 숨이 턱 막힐정도로 찜질방이 따로 없더라고요. 이런 날엔 누구든 더위 먹었다는 말을 쉽게 하죠.
그런데 진짜로 더위를 먹으면 단순한 피곤함을 넘어서 몸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어요. 어지럼증, 구토, 두통, 심한 경우엔 의식 저하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대처가 꼭 필요해요! 오늘은 여름철에 더위 먹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과 올바른 대처법, 예방을 위한 생활 팁까지 모두 알려드릴게요.
더위 먹었을 때 나타나는 주요 증상
더위를 먹으면 사람마다 증상이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징후들이 있다고 해요. 대표적인 징후로는 어지러움, 구역질, 두통, 식은땀, 근육경련, 집중력 저하 등이 있습니다.
특히 장시간 햇빛에 노출된 뒤 몸이 축 늘어지고 기운이 없다면 열탈진일 가능성이 높아요. 더 심할 경우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급격히 올라가고, 의식이 혼미해지는 열사병 단계로 진행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냥 더운가 보다' 하고 넘기기엔 위험할 수 있어요.
즉시 해야 할 응급 대처법
더위 먹은 사람을 보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서늘한 곳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가능하면 에어컨이 켜진 실내로 이동시키고, 없다면 그늘진 곳에서 바람을 쐬게 해야 해요. 그 다음으로는 옷을 느슨하게 풀어주고, 수건이나 찬물로 몸을 닦아 체온을 낮춰주세요.
특히 목 뒤,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 큰 혈관이 지나는 부위를 차갑게 하면 체온을 빠르게 떨어뜨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온음료나 생수를 조금씩 자주 마시게 하되, 의식이 흐리다면 절대 억지로 마시게 하지 마세요.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즉시 119를 불러야 해요.
더위를 먹지 않으려면 이렇게 예방하세요
예방이 최선이라는 말은 더위에도 적용됩니다. 외출 전에는 날씨 정보를 확인하고, 폭염특보가 발령되었을 땐 가급적 외출을 피하는 것이 좋아요. 외출할 땐 밝은색,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고, 챙이 넓은 모자나 양산을 활용해 햇빛을 차단해 주세요.
수분 섭취는 가장 기본이죠. 갈증을 느끼기 전에 자주 물을 마시는 습관을 들이면 좋아요. 커피나 탄산음료 대신 생수, 이온음료, 보리차 등을 추천합니다. 또한 한낮에는 무리한 운동이나 야외 활동을 삼가고, 실내에서도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해요.
특히 주의해야 할 사람들
노약자, 어린이, 임산부, 심혈관 질환자 등은 더위에 훨씬 민감한 편인데요. 이들은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실내에서도 탈수나 열탈진이 나타날 수 있어요. 특히 어린아이는 ‘덥다’고 표현을 잘 하지 않기 때문에 보호자가 수시로 상태를 확인해야 해요.
에어컨을 켜고 있더라도 너무 차갑게 설정하면 오히려 냉방병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실내 온도는 25도 전후로 유지해 주세요. 노인분들의 경우엔 갈증을 잘 느끼지 못하니 스스로 챙겨 마시기 어려워요. 가족이나 보호자가 주기적으로 물을 권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런 행동은 오히려 위험해요
더위를 먹었을 때 찬물로 샤워하거나 얼음을 먹는 사람들이 많지만, 이때 주의가 필요해요. 너무 차가운 물은 오히려 혈관을 급격히 수축시켜 위험할 수 있어요. 특히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으니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거나 물수건을 이용해 체온을 서서히 낮추는 것이 더 좋습니다.
또한 더위를 먹은 상태에서 음식을 억지로 먹는 것도 좋지 않아요. 위장 기능이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죽이나 미음처럼 소화가 쉬운 음식으로 천천히 회복하는 것이 필요해요.
더위, 방심하지 마세요
더위는 누구에게나 찾아오고, 그 결과는 생각보다 위험할 수 있어요. 특히 여름철 일상 속에서 '조금 피곤한가?' 싶은 순간이 더위 먹은 초기 신호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
오늘 내가 느끼는 두통과 무기력감이 단순한 피로인지, 더위로 인한 신호인지 구분하는 감각이 필요합니다. 예방을 위한 습관과 빠른 대처는 한 여름을 건강하게 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에요. 더위는 견디는 게 아니라 ‘피하고 다스리는 것’임을 기억하고, 올해 여름은 똑똑하게 보내보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끗하게 빨래를 했는데도 냄새가 나는 이유 (0) | 2025.07.10 |
---|---|
여름철 피부 트러블 관리 이것만 바꿔도 확 달라져요 (0) | 2025.07.09 |
자외선 차단제 종류 선세럼, 선크림, 선스크린, 선블록의 차이 (0) | 2025.07.06 |
실내외 온도차 줄이는 생활 꿀팁 선풍기만 사용할 때 vs 에어컨 조합 (0) | 2025.07.04 |
폭염 속 냉방병 예방법 알아봅시다 (0) | 2025.07.04 |